◈ 초창기 ◈
6.25사변 발발로 피난 왔던 임시수도가 서울로 환도된 뒤인 1953년 봄, 황폐해진 팔도 민심의 집결지였던 이 곳 부산에
재부산청군향우회가 창립되고, 1971년 5월 청년회와의 통합을 하기까지 18년간은 격동의 시기였다.
이 무렵 향우 상호간에 위로와 격려하는 것을 향우회의 주된 사업목적으로 삼았을 것으로 사료되나 기록이 없어 부득이 생존자의 보고,
듣고, 확인되고, 추리가 가능한 부분만 기술한다.
◈ 중흥기 ◈
침체된 기존 향우회를 발전시키기 위해 1969년에 이미 조직되었던 청년회가 1971년에스스로의 몸을 불살라 통합을 이룩한 것은
향우사에 길이 남을 일이며, 이후 애향사업의 일환으로 마을문고 도서보내기 4년, 장학사업 26년간 향리 중ㆍ고등학생 470명에게
장학금 84,565,000원을 지급하였고, 장학기금 132,624,971원은 재부산청군향우회관을 마련하는 초석이 되었다.
향우회의 장학사업은 대외적으로는 경향간에 찬사와 주목을 받았으며, 대내적으로는 향우간의 결속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 도약기 ◈
2002년 7월, 독지향우 130명이 협찬한 448,100,000원과 장학기금을 합하여 부산광역시 서구 동ㆍ서대신동의 관문 요지에
지하 1층, 지상 4층의 건물을 매입, 동년 9월 11일 본회 소유로 영구 보존될 수 있도록 등기를 필하였고, 회관 마련을 위하여
일시 중단되었던 장학사업도 부활하였으며, 정기총회와 향우친선 체육대회도 해마다 성황리에 개최되고 있으며, 반세기 초유의
향우회지「山淸」을 해마다 발간하고 있으며, 매월 월보까지 발행하여 향우간의 정보 공유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또한, 본회 산하에 11개 읍ㆍ면 향우회 및 청년회가 조직되었고, 직능단체로 경덕회(시ㆍ구청 행정공무원), 산우회(경찰공무원),
경호회(세무공무원), 법우회(법조계), 지산회(소방공무원), 문우회(문인동호회), 연철OB(연합철강 출신), 산구회(골프동호회),
중ㆍ고 동문회(산청고, 단성중, 신등중) 등이 조직되어 날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어 재부산청군향우회는 바야흐로 전성시대를 맞고
있다.
|
 |
1953.05. |
* |
창립총회 개최 (초량동 구봉산, 약 30명 참석)
초대 강임상 회장 선출 |
1954.05. |
* |
제2차, 정기총회 개최 (초량동 구봉산, 약 70명 참석) |
1055.05. |
* |
제3차, 정기총회 개최 (초량동 구봉산, 약100명 참석) |
1956.05. |
* |
제4차, 정기총회 개최 (초량동 구봉산, 약100명 참석)
제2대 김석구 회장 선출 |
1957.05. |
* |
제5차, 정기총회 개최 (초량동 구봉산, 약100명 참석) |
1958.05. |
* |
제6차, 정기총회 개최 (초량동 구봉산, 약100명 참석)
제3대 하종배 회장 선출 |
1959.05. |
* |
제7차, 정기총회 개최 (초량동 구봉산, 약110명 참석) |
1960~1966 |
* |
휴회 |
1967.05. |
* |
제8차, 정기총회 개최 (부산회관, 약150명 참석)
제4 대 신예균 회장 선출 |
1968.05. |
* |
제9차, 정기총회 개최 (부산회관, 약150명 참석) |
1969.05. |
*
|
제10차 정기총회 개최 (부산회관, 약150명 참석)
제5대 김진옥 회장 선출 |
1970.05. |
* |
제11차, 정기총회 개최 (부산회관, 약110명 참석) |
 |
1971.05.16.
|
*
|
제12차, 청년회와 통합 정기총회 개최 (양정동 정묘사, 약200명 참석)
제6대 이희동 회장 선출 |
1972.05.28. |
* |
제13차 정기총회 개최 (동백섬, 약200명 참석) |
|
* |
회칙재정 - 전문 7장 16조 |
|
* |
향리 43개 초등학교에 마을문고 설치를 권장,
도서보내기 운동 실시(장학사업의 효시가 되었음) |
1973.05.09.
|
*
|
제14차 정기총회 개최 (동백섬, 약200명 참석)
제7대 이희동 회장 선출(연임) |
1974.05.09. |
* |
제15차 정기총회 개최 (동백섬, 약200명 참석) |
1975.05.09.
|
*
|
제16차 정기총회 개최 (동백섬, 약250명 참석)
제8대 박우재 회장 선출 |
1975.12.09. |
* |
장학회 발족 - 발기인 23명 |
1976.02.
|
*
|
제1회 장학금 지급 - 산청군 교육청 추천 중학생 9명 각 20,000원 |
|
고등학생 5명 각 25,000원, 대학생 1명 50,000 |
1976.05.16. |
* |
제17차 정기총회 개최 (서면회관, 약200명 참석) |
* |
회칙개정 - 부회장 인원수 5명을 둔다. |
1977.02. |
*
|
제2회 장학금 지급 - 산청군 교육청 추천 중학생 9명 각 25,000원 |
|
고등학생 5명 각 30,000원 |
1977.05.10. |
*
|
제18차 정기총회 개최 (동백섬, 약250명 참석)
제9대 박우재 회장선출 (연임) |
1978.02. |
*
|
제3회 장학금 지급 - 산청군 교육청 추천 중학생 9명 각 30,000원 |
|
고등학생 5명 각 35,000원 |
1979.02. |
*
|
제4회 장학금 지급 - 산청군 교육청 추천 중학생 9명 각 35,000원 |
|
고등학생 5명 각 45,000원, 대학생 1명 50,000원 |
1979.05.09. |
*
|
제19차 정기총회 개최 (동백섬, 약250명 참석)
제10대 민영아 회장 선출 |
1980.02. |
*
|
제5회 장학금 지급 - 산청군 교육청 추천 중학생 8명 각 45,000원 |
|
고등학생 6명 각 55,000원 |
1980.05.09. |
* |
제20차 정기총회 개최 (동백섬, 약250명 참석) |
1981.02. |
* |
제6회 장학금 지급 - 산청군 교육청 추천 중학생 9명 각 55,000원 |
|
고등학생 7명 각 75,000원 |
1981.05.09.
|
* |
제21차 정기총회 개최 (동백섬, 약250명 참석)
제11대 정대근 회장 선출 |
19 | |